전체 글20 Nginx설정파일을 이해해봅시다 안녕하세요. 졸린개발자입니다. nginx를 설치하고 나면, 웹 서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ginx의 설정을 바꿔줘야합니다. 설정파일의 위치는 ubuntu 기준 /etc/nginx/nginx.conf입니다.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이 파일의 내용을 이해해봅시다. user www-data; Nginx는 Master 프로세스와 Worker프로세스로 나누어집니다. 자세한 것은 구글링하면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이 설정은 worker프로세스가 실행될때 이 user로 실행됨을 나타냅니다. 왜 root계정이나 사용자 계정으로 worker가 돌아가지않고 www-data와 같이 새로운 계정으로 권한이 주어지냐면, 권한을 최소로 주어, 악의적인 사용자들이 서버를 헤집고 다니는 .. 2022. 4. 21. HTTP 기반의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때 고려해야 할 점 바쁜독자들을 위한 1줄요약 더보기 외부시스템과 연동할때는 연결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고려해서 개발합시다. 안녕하세요 졸린개발자입니다. 서버나 클라이언트를 개발하다보면 HTTP기반의 외부 시스템과 연동의 필요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독자들은 클라이언트는 당연히 서버와 연결하기 위해 외부시스템과 연동이 필요한데 왜 서버는 외부시스템과 연동하지?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서버를 만들 때, 자신이 모든 것을 만드는 것보다 외부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경우에는 외부 시스템을 이용하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OAuth입니다. 카카오톡으로 회원가입처리를 대신하게 되면 많은 이점을 가져옵니다. 1. 사용자 정보를 카카오톡에서 저장하여, 사용자 정보의 보안과 트래픽을.. 2022. 4. 19. SpringBoot에서 Web server를 끄고 실행하는법 안녕하세요 졸린개발자입니다. SpringBoot로 개발하다보면 테스트를 위해 Spring Web dependency를 추가해야되지만, 내장된 웹서버인 Tomcat을 실행하지않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할 필요성이 생깁니다. 바로 예제로 보시죠 위와 같은 방법으로 Web을 끄고 실행할 수가 있습니다. 2022. 4. 17. Spring에서 외부 HTTP API와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졸린개발자입니다. 오늘은 Spring에서 외부 HTTP API와 연동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pring에는 외부의 http API와 통신하기 위해 RestTemplate, WebClient를 지원해줍니다. 이때 개발자는 2개중에 하나를 선택해야하는데 Spring에서는 WebClient를 추천합니다 RestTemplate 코드의 주석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있습니다. NOTE: As of 5.0 this class is in maintenance mode, with only minor requests for changes and bugs to be accepted going forward. Please, consider using the org.springframework.web.re.. 2022. 4. 16. 이전 1 2 3 4 5 다음